live broadcast 자세히보기

V.E안

설계VE 업무 메뉴얼

건축관 2008. 4. 21. 11:10
반응형

 

 

 

 

설계VE 업무 메뉴얼

 

 

 

 

 

 

 

 

 

 

2005. 11.

 

 

 

 

 

 

 

 

 

건 설 교 통 부

목      차

 

1. 일반사항                                                                  1

1.1 목 적                                                                      1

1.2 적용범위                                                                  1

1.3 용어의 정의                                                               1

 

2. 설계의 경제성등 검토(VE) 대상공사 및 업무          4

2.1 설계의 경제성등 검토(VE) 대상공사                                4

2.2 설계의 경제성등 검토(VE) 업무범위                               4

2.2.1 발주청의 지원업무수행자 업무                                          4

2.2.2 검토조직 책임자의 업무                                                 5

2.2.3 VE 팀원의 업무                                                         6

2.2.4 설계자의 업무                                                            6

 

3. 설계의 경제성등 검토 업무절차 및 내용                   7

3.1 VE검토 수행절차(Job Plan)                                           7

3.2 준비단계                                                                  8

3.2.1 오리엔테이션 미팅                                                       8

3.2.2 VE 활동 기간의 결정                                                  10

3.2.3 VE 활동장소 결정시 고려사항                                         10

3.2.4 VE활동에 요구되는 각종 편의시설 및 공간의 규모                  10

3.2.5 검토조직의 편성                                                        11

3.2.6 사용자(발주자) 요구 측정                                              12

3.2.7 VE대상 선정                                                            13

3.2.8 관련자료의 수집                                                        15

3.3 분석단계                                                                  17

3.3.1 정보 수집                                                               17

3.3.2 기능 분석                                                               17

3.3.3 아이디어 창출                                                           28

3.3.4  아이디어 평가                                                         32

3.3.5 대안의 구체화                                                           35

3.3.6 제안 단계                                                               40

3.3.7 발표 단계                                                               42

3.4 실행단계                                                                  43

3.4.1 제안서 검토                                                             43

3.4.2 제안서 승인                                                             45

3.4.3 후속조치                                                                 46

 

 

 

표  목  차

 

<표 3.1> 오리엔테이션 미팅 참석자【sample】                               8

<표 3.2> VE 대상 선정기법 비교                                             14

<표 3.3> 정보수집 단계의 발표 주체, 내용 및 효과                         15

<표 3.4> 기능 정의 예【sample】                                            18

<표 3.5> 기능분류의 구분                                                     18

<표 3.6> 기능정의 및 분류【Sample】                                       19

<표 3.7> 경험에 의한 기능비용 산출의 기법의 예                           25

<표 3.8> 부정합의 예                                                          26

<표 3.9> 기능평가표 작성의 예                                               27

<표 3.10> 개인(집단) 브레인스토밍【Sample】                              30

<표 3.11> 개인, 집단 브레인스토밍 비교                                     31

<표 3.12> 가기준별 주요 평가 항목                                          32

<표 3.13> 아이디어 개략 평가【Sample 1】                                 33

<표 3.14> 아이디어 개략 평가【Sample 2】                                 34

<표 3.15> 가치척도                                                            36

<표 3.16> 정성적 평가등급 산정 기준                                        37

<표 3.17> VE제안의 최종처리절차                                           41

<표 3.18> VE 제안서 및 최종 VE 보고서에 수록해야 할 항목            43

<표 3.19> VE 제안 실행 요약서【Sample】                                 44

 

그 림 목 차

 

[그림 3.1] 준비단계 운용기법                                                  13

[그림 3.2] FAST도의 작성기준                                                21

[그림 3.3] Fast도 작성(자동 요금징수 시스템)【Sample】                   22

[그림 3.4]FAST도 작성(주차장 선구획 공사)【Sample】                    22

[그림 3.5] 아이디어 창출 개념                                                 28

[그림 3.6] 아이디어 평가 절차                                                 35

[그림 3.7] LCC 분석 절차                                                     38

[그림 3.8] 확률적 접근방법에 의한 NPV 계산                               40

 

1. 일반사항 

1.1 목 적  

 이 업무메뉴얼은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제38조13의 설계의경제성등검토에관한시행지침의 규정에 의한 설계의 경제성등 검토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발주청 및 VE검토업무 관련자(발주청의 지원업무수행자, 설계감리원, 설계자 등)에게 VE업무 수행을 위한 표준절차를 제공함으로써 설계VE제도의 조기정착 및 업무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자 함

 

1.2 적용범위 

(1) 본 업무요령은 건설기술관리법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38조의 13의 규정에 의하여 건설공사에서 설계경제성등 검토 업무를 수행하는데 적용한다. 

(2) 본 업무요령은 표준적인 내용을 정한 것으로서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의 대상공사의 특성, 종류에 따라 발주청에서 관계법령 및 규정 등을 기준하여 별도로 마련하여 적용할 수 있다. 

 

1.3 용어의 정의

설계VE(Value Engineering) : 법령에서는 설계의 경제성등 검토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각종 문헌에서는 VE 또는 설계VE라고 사용하고 있다. 용어에 대한 정의는 “최저의 생애주기비용으로 시설물의 필요한 기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계내용에 대한 경제성 및 현장적용의 타당성을 기능별, 대안별로 검토하는 제도”를 말한다. 다만, 생애주기비용 관점에서 검토가 불가능한 경우 건설사업비용 관점에서 검토한다.

가치(Value): VE의 궁극적인 목표는 가치향상에 있다. 가치의 향상은 건설 사업의 3대요소인 시간-비용-품질(기능)의 적정한 안배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VE의 제안은 반드시 최적안(Optimum Solution)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다만 적정안(Satisfactory Solution)에 머무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VE에서 추구하는 가치의 향상이라 할 수 있으며, 또한 VE는 프로젝트가 요구하는 필수적인 기본기능의 수준을 낮추는 설계의 변경을 추구하지 않는다.

기능(Function) : VE는 프로젝트의 기능분석을 수반한다. 대체안의 개발에 있어서의 접근방법은 “What does it do?”라는 무형기능을 파악하는 과정을 수반하는 반면에 일반적인 원가절감방법 또는 설계검토 과정에서는 “What else we can use?”라는 유형의 대안을 찾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기능중심의 사고는 창조적 아이디어의 개발을 돕는 VE에서만의 독특한 접근이다.

VE 활동 : 각각의 사업에서의 적용되는 VE 프로세스 전체를 의미하며, VE의 준비단계, 분석단계, 실행단계까지 각 VE 대상에 따라 팀 작업을 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생애주기비용(LCC : Life-Cycle-Cost) : 시설물의 내구연한동안 소요되는 비용을 말한다. 여기에는 기획, 조사, 설계, 조달, 시공, 운영, 유지관리, 철거 등의 비용 및 잔존가치가 포함된다. VE의 대안비교에 다루어지는 비용은 초기비용에 국한되지 않는다. 시설물의 완성 후 사용기간 동안의 유지, 관리, 교체비용을 포함한 총비용(Total Life Cycle Cost)을 사용한다. 총비용의 관점에서 대안의 총체적인 평가가 가능해지며, 이러한 VE의 총비용의 접근방식은 일반적인 설계검토 과정에서 다루어지는 비용에 대한 접근방식과 다르다.

수정설계 : 설계의 경제성등 검토업무를 통해 제시된 제안이 채택되었을 때, 설계자가 제안에 따라 실시하는 일련의 설계내용 수정등의 작업을 말한다.

설계VE 시행부서 : 설계VE 기법의 습득 및 전수, 단위사업별 설계VE팀의 구성, 단위사업별 설계VE의 실시, 설계VE 실적관리 및 사례집 배포, 설계VE 사례 표준화 및 D/B 구축을 통한 활용체계 구축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부서를 말한다.

설계/시공/유지관리VE 팀 : 당해 사업에 대한 설계/시공/유지관리단계에서 VE를 시행하는 조직을 말한다.

VE 지원업무 수행자(VE coordinator) : 발주청에서 VE업무를 담당하는 자로서 VE검토 조직을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VE 책임자(VE leader) : 발주청의 지원업무 수행자로부터 선임된 VE검토 조직의 책임자

설계자 : 해당사업의 설계를 담당한 설계회사 또는 대표자를 의미한다.

건설사업관리자(CMr : Construction manager) : 해당사업에서 발주청에 의해 고용된 건설사업관리자를 의미한다.

건설사업관리(CM:Construction Management) : CM계약을 통해 건설사업관리자가 발주자의 권한을 전부 또는 일부 위임받아 건설사업의 관리업무 일체(기획⇒설계⇒발주⇒시공/감리⇒사후관리)를 종합적,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건설사업 진행과정에서 예산절감 및 품질향상을 통해 건설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선진공사관리 제도

품질모델(Quality Model) : 설계VE 대상사업의 사업관련자들의 요구 및 기대수준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응수준을 결정하여 도시한 것으로 설계VE의 목표설정 및 일관성 있는 설계VE 활동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되며, 특히 창출된 대안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평가척도로) 사용할 수 있다.

코스트모델링(Cost Modeling) : 건설사업비용의 비중이 큰 공종 즉, 비용절감의 효과가 큰 공종을 중심으로 설계VE 대상을 선정하는데 적용되는 기법으로, 파레토의 법칙, 비용․효과분석, 전문가적 경험 및 직관 등과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된다. 비용모델을 준비함으로써 얻어지는 기대효과는 고비용분야 식별, 잠재적인 VE 대상분야 선정에 도움, 여러대안들의 비교에 이용할 수 있는 기본참고자료 제공, 분석단계에서 비용배분의 자료작성에 사용 등이 있다.

파레토의 법칙(Pareto's Rule) : 설계VE 대상을 선정기법으로 “20:80” 법칙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그 개념은 “다수(80%)를 결정하는 주요 영향요인은 소수(20%)이다”로 요약될 수 있으며, 설계VE의 관점에서 “공종수 대비 20%의 공종이 건설사업비용 대비 80%를 차지하는 주요 공종이다”라는 의미이다.

비용․효과분석(Cost-worthy-model) : 비용과 Worth 사이의 차이는 가치의 불균형을 나타내는 것이며, Cost/Worth로 표현될 수 있다. 이 가치지수에 의해 저가치공종 즉, 건설사업 가치향상이 큰 공종을 중심으로 설계VE 대상을 선정하는데 적용되는 기법이다.

비용․성능평가 : 건설사업의 비용측면 뿐 아니라 발주자/사용자 요구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기능향상을 동시에 고려하여 설계VE 대상을 선정하는 방법이며, 비용․성능평가표를 작성하고, 각 항목별 비용측면의 비중과 성능측면의 비중을 분포도 형태로 작성하여 이를 기준으로 설계VE 대상을 선정한다.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 미국의 아렉스 오스본이 아이디어를 용이하게 나오게 하기 위한 집단토의 기법으로 개발하였으며, 사회적으로, 정신적으로 속박 받지 않는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최대한 많은 아이디어를 발굴하는데 활용되는 대표적인 기법으로 사실상 설계VE 대상선정 단계에서부터 설계VE 제안서 작성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응용될 수 있다.

델파이(Delphi) 기법 : 한 문제에 대해 여러 전문가들의 독립적인 의견을 설문지 양식으로 수집한 다음 이 의견들을 요약ㆍ정리하여 다시 전문가들에게 배부하여 일반적인 합의가 이루어질 때까지 설문을 실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공동의 의견을 도출하는 기법이다.

 

2. 설계의 경제성등 검토(VE) 대상공사 및 업무 

 

2.1 설계의 경제성등 검토(VE) 대상공사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제 38조 13의 규정에 의한 설계의 경제성등 검토를 시행하는 건설공사

 

2.2 설계의 경제성등 검토(VE) 업무범위 

  설계의 경제성등 검토조직에 참여하는 발주청의 지원업무수행자(이하 “지원업무 수행자”라 한다), 검토조직의 책임자(이하 “VE 책임자”), 검토조직의 구성원(이하 “VE 팀원”이라 한다), 설계자 등의 구성원의 역할과 업무는 아래와 같다.

 

2.2.1 발주청의 지원업무수행자 업무

설계의 경제성등 검토의 주관부서 장은 발주청에 VE의지원업무수행자를 선임해야 하며, 지원업무수행자 선임시 VE의 절차에 관해 전반적인 이해와 지식을 가진 자를 선임한다.

각 사업별 VE 활동의 시작에서부터 종료 때까지 발주청을 대표하여 해당업무를 수행

• 해당 사업의 VE 활동의 실무를 담당하며, 수립된 VE 활동계획에 의거하여 그 활동을 지원 점검하고 그 결과를 VE 주관부서의 장에게 보고하는 등 VE와 관련된 제반 실무를 수행

• VE 검토조직의 책임자 및 검토조직을 선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기획‧선도

• 준비단계의 오리엔테이션 미팅에 참여하고, VE 검토조직의 책임자 및 VE 팀원이 원활한 VE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항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각종 조치를 취함

• VE 활동기간 동안 각종 지원업무를 수행해야 하며, 중요 시점마다 확인, 점검, 승인 등의 업무를 수행

• 분석단계에서 평가 및 제안단계에 참여하여 각종 의견과 비평을 개진

• 설계주관부서의 장의 허가를 득하여 최종 승인 여부를 결정

• VE 제안의 실행과정을 관리, 감독해야 함. 필요한 경우 사용기관의 자문을 얻을 수도 있음

• VE 실행의 최종결과(최종 VE 보고서)를 지정된 형식에 의해 작성하여 해당기관장에게 보고

 

2.2.2 검토조직 책임자의 업무

 VE 활동의 실질적인 책임자로써 VE 대상 시설물에 대한 VE 활동을 총괄 수행한다. VE 책임자는 대상사업 및 준비단계에서 결정되는 VE 대상에 따라 여러 명이 될 수도 있다. 적어도 VE팀리더만은 VE전문가가 맡아야 전체 프로세스를 어느 정도 정확히 적용할 수 있으며 VE 수행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 VE 활동 과정상의 VE 관련자들에게 일정을 통지

• 준비단계 동안 VE 책임자는 설계자에게 각종 정보요구사항을 통지해야 하며, 이에 대해 설계자는 충분한 자료를 VE 검토조직의 책임자(이하 “VE 책임자”라 한다)에게 제공해야 함.

• VE 활동의 최종일에 VE 검토조직의 책임자는 VE 제안에 따른 제안서를 작성하여 VE 지원업무수행자에게 제출(이것으로서 VE 책임자와 팀원의 업무는 사실상 종결되며, 이후의 업무는 VE 제안의 실행에 따른 지원업무에 속한다.)

• 분석단계 종료후 14일 이내에 설계부서의 적용성 검토 시 VE 검토조직의 책임자는 VE 제안의 적용성 검토 처리과정의 지원업무를 수행

• 승인된 VE 제안의 최종 처리결과에 대해서 VE 최종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이에 대한 검토의견을 VE 지원업무 수행자에게 개진

• VE제안의 실행을 지원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각종 기술적 보완자료를 제공함.

2.2.3 VE 팀원의 업무

  VE 팀원은 각종 VE 검토대상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자로 설계, 시공, 구조, 전기, 기계, 적산, 시방서, 환경, 전산 등 건설관련 각 분야 전문가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VE 검토조직은 대상사업의 특성과 준비단계에서 결정되는 VE 대상에 따라 여러개의 VE 검토조직으로 나뉘어 질 수도 있으며, 전임(Full-Time)뿐만 아니라 비전임(Part-Time)의 검토조직 구성원도 포함될 수 있다.

• VE 지원업무수행자와 VE 검토조직 책임자의 지시와 일정에 따라 실질적인 VE 활동 수행.

• VE 활동에 필요한 관련 정보를 입수하고 관련자들에게 보완 자료 요청

• VE 활동에 적극 동참하여 아이디어를 제안, 발표, 평가함.

• 해당 분야의 제안서를 작성하고 관련 전문 분야의 협조 요청이 있을 시에는 협조 지원.

   

2.2.4 설계자의 업무

  VE 활동기간 중에 설계자의 주요 업무 및 의무사항은 다음과 같다.

• 설계자는 준비단계에서 오리엔테이션 미팅에 참가하여 VE 책임자와 팀으로부터 요구되는 정보의 유형을 파악하고 VE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각종 정보를 충실히 제공하여야 한다.

• 분석단계 중 정보수집 단계에서는 설계개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발표를 해야 한다. (특히, 기술적 부분이 주요 논제가 될 경우에 설계팀의 각 전문가들도 함께 참석해서 설명할 수 있다.)

• 설계자는 VE 실행단계에서 VE제안서를 VE 검토 조직의 책임자로부터 받아 이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개진해야 하며, VE 실행을 위한 설계부서의 최종 적용성 검토 시 이의 채택여부를 설계부서 담당자와 함께 협의한다.

설계자는 승인된 VE 제안의 조치계획서를 작성하고 이를 설계주관부서에 제출한다. 

• 설계자가 만약 VE 제안을 거부할 경우 이에 대한 명확하고 타당한 이유를 밝혀야 하며, 이를 위한 각종 기술적 증빙자료도 제출해야하고, 승인된 VE 제안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수정설계를 착수해야 한다. 

 

 

3. 설계의 경제성등 검토 업무절차 및 내용

 

3.1 VE업무 수행절차 (Job Plan)

    설계의 경제성등 검토업무는 VE Job Plane 표준절차에 따라 준비단계 (Pre-Study), 분석단계 (VE Study), 실행단계 (Post-Study)로 나누어 실시하며. 각 추진 단계별 목표달성을 위하여 사용되는 운영기법은 해당 설계VE의 특성과 적합성을 검토하여 적용 할 수 있다.

 

 

3.2 준비단계 

  준비단계의 주요 목적은 원활한 VE수행을 위하여 관련된 집단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공동목표를 설정하며 VE분석단계에 요구되는 충분한 자료를 확보하는 데 있으며 준비단계에서는 오리엔테이션 미팅, 검토조직의 편성, 검토대상 선정, 검토기간 결정, 설계용역의 중간성과품 확보, 기타 관련정보와 자료 등을 충분히 수집 하여야 한다.

 

3.2.1 오리엔테이션 미팅

  오리엔테이션 미팅은 VE수행 이전에 VE팀 구성원들간의 팀웍을 다지고 대상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및 기타 정보를 이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VE 수행을 가능케 하기 위한 것으로 VE 분석단계 이전에 VE 책임자의 주관 하에 개최되며, 발주청의 VE 지원업무 수행자, VE팀 구성원, 설계팀의 대표자등이 포함된다. 오리엔테이션 미팅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프로젝트에 대한 VE팀 구성원의 전반적인 이해

• 발주청의 목표확립

• VE활동에 요구되는 각종 정보의 파악 및 수행전략의 수립

• 설계제약조건, 정치적인 문제 등 각종 제반요소의 파악을 통한 VE활동의 범위설정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의 습득

• VE팀 선정 및 구성계획 마련

• 요구되는 기술 및 비용데이터 규정 및 배포

• 오리엔테이션 미팅의 주요 내용

- 팀 구조, 선정, 규모 논의

- 원설계팀 VE활동 참여여부 결정

- 연구개시일 및 활동 일정 결정

- VE연구장소 및 요구시설 결정

• 구성원별 주요 업무

- VE책임자 : 오리엔테이션 미팅 주관, 관련 주체간 협력관계 구축

- VE 지원업무 수행자 : 발주청의 목표전달, 필요한 각종 제반 사항 파악

- VE팀원 : 사업의 개략적 이해, 사업 및 설계 정보 요청, 각종 제약사항 파악

- 원설계자 : 필요한 정보 파악, 각종 질의에 응답 및 설계 자료 제공

 

 

<표 3.1> 오리엔테이션 미팅 참석자【sample】

오리엔테이션 팀 구성
사업명 ○○~○○간 건설공사
회의장소 ○○○세미나실 일 시 2005년 2월 5일
이 름 소속 직위 역할 전화 E-mail
김OO AA공사 총괄 발주청 대리인 123-0000 aaa@a.com
박OO BB시청 주임 사용기관 대리인 123-0001 bbb@b.com
김OO AA공사 과장 VE 지원업무 수행자 123-0002 ccc.@c.com
김OO ○○컨설팅 이사 CM 123-0003 ddd@.d.com
천OO ○○E&C 부장 VE 책임자 123-0004 eee@.e.com
정OO ○○E&C 차장 VE팀 123-0005 ddd@d.com
윤OO AA공사 대리 VE팀 123-0006 ggg@g.com
           
           
           
           
           
           
           
           
           
           
           
           

  

3.2.2 VE 활동 기간의 결정

VE 활동기간은  일반적으로 5~10일정도 진행되나 다음의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 VE활동기간은 프로젝트의 규모, 특성, 난이도, VE가 실시될 프로젝트의 단계에 따라 가감될 수 있음

• 예를 들면 기획 또는 기본설계단계의 VE활동은 짧은 기간 동안에 수행될 수 있으며, 난이도가 있는 대규모 사업에서는 보다 많은 기간이 필요함

그러나 활동기간이 짧아도 기능분석과 같은 핵심 VE 프로세스를 간과해서는 안 됨

 

3.2.3 VE 활동장소 결정시 고려사항

• 활동장소의 결정은 발주청의 담당자, 설계자, VE 책임자가 상호 협의하여 결정함

• VE팀 구성원이 VE 활동기간 동안 해당 설계VE업무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일상적인 업무에서 벗어날 수 있는 장소와 환경을 조성

• 워크샵 이전에 VE 책임자와 VE팀이 현장방문을 하는 것도 VE 수행에 많은 도움이 되므로 현장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것도 바람직함

 

3.2.4 VE활동에 요구되는 각종 편의시설 및 공간의 규모

 •VE활동에 사용되는 방의 크기는 모든 팀 구성원에게 충분히 여유 있는 공간이 필요

•기타 이외의 여러 가지 편의시설 제공(전화, 팩시밀리, 복사기, 컴퓨터, 칠판, 화이트보드, 플립차트 등)

• VE활동에 요구되는 적정 소프트웨어와 주변기기를 갖춘 컴퓨터가 있어야 하며 정보수집 및 파일 송수신 등으로 인하여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장소로 결정

3.2.5 검토조직의 편성

 VE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설계자 및 시공기술자에게 VE활동 전체를 의존해서는 안된다. 이렇게 하면 VE방법론의 전체 프로세스 예를 들어 웍숍수행, 기능분석, 성능분석, 가치분석 등 일련의 작업을 하는데 상당히 미흡할 수 있다. VE 프로세스를 제대로 적용할 수 있는 VE전문가를 팀구성시 반드시 고려하여야 하며, 각 분야의 설계 및 시공에 익숙한 기술자와 VE전문가가 하나의 팀으로 구성되었을 때 VE방법의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검토조직의 편성 목적은 분석단계시 해당 부문에서 활동할 개별 VE팀 구성원들의 규모, 자격 및 구성안에 대해 결정하는 것이다. 검토조직의 편성은 VE검토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중요하며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 팀의 참가자들은 어떻게 선발할 것인가?

    • 가장 이상적인 팀조직은 어느 정도 크기인가?

    • 어떻게 팀조직의 조화를 이룰 것인가?

    • 구성된 팀조직의 사고방식은 어떤 방향으로 이끌 것인가?

    • 팀리더는 어떤 방법으로 선출할 것인가?

    • 팀의 활동목표는 어떻게 선출할 것인가?

 

(1) VE팀의 규모 결정

  일반적으로 VE팀의 규모는 5~7명 정도의 전임요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규모 결정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팀 구성원 전체가 참여시 VE책임자가 팀을 통제할 수 있는 규모여야 함

② 규모가 커지면 소수의 구성원에 의해 토론이 진행되어 구성원 전원의 실질적인 참여가 어려워지며 팀의 단결이 와해될 가능성이 있음

  

  분석단계의 VE 대상의 수 및 시기에 따라 VE팀의 규모는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VE팀은 VE책임자 및 전임(Full-time)팀원으로 구성되어 VE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대상 프로젝트의 특성과 준비단계에서 결정되는 VE 대상에 따라 전문 인력 등이 부족할 경우 VE 연구부문별로 비전임(Part-time) 팀원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2) VE팀 선정 및 구성 절차

  준비단계에서 결정되는 VE팀 선정 및 구성은 전체 VE활동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사항이므로 다양한 전문지식을 가진 팀의 편성과 구성원의 수의 적절한 안배가 요망된다. 프로젝트의 규모, 유형 및 상황, 설계VE의 수행시기에 의해 결정되며 설계 및 시공뿐만 아니라 시공 후 유지관리 및 사용기관의 대표, 발주청의 대표 등 다양한 전문가의 참여가 구성원 선정시 고려되어져야 한다. 또한 준비단계에서 결정되는 VE 각 대상의 부문에 따라 VE팀 구성원이 갖추어야 할 전문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다음은 VE팀 선정 및 구성절차를 기술한 것이다.

① 준비단계에서 VE책임자는 오리엔테이션 미팅을 통하여 프로젝트의 각종 정보를 세부적으로 검토

② VE팀들의 해당 전문분야를 특수한 분야와 일반 분야로 구분하여 규정하고 이를 발주청의 VE 지원업무 수행자에게 보고

③ 발주청의 지원업무 수행자는 이를 검토한 후 준비단계에서 결정되는 VE 검토대상 및 대상의 수, 그리고 시기에 따라 요구되는 개별 VE팀의 수, 자격과 규모를 검토한 후 이에 대한 승인여부를 VE 책임자에게 통보(단, 발주청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원설계자도 VE팀에 포함될 수 있음)

④ VE팀들이 구성이 되면 VE 책임자는 각 팀 구성원이 프로젝트의 기술적 자료를 검토할 수 있도록 이를 배포

⑤ VE 분석단계 이전 이러한 기본적인 정보의 검토는 VE팀 구성원이 해당 프로젝트의 상황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목적으로 수행됨

 

3.2.6 사용자(발주자) 요구 측정

  VE의 전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은 사용자의 가치이다. 따라서 VE를 사용자의 가치에 비추어 성능/비용의 비율을 높이는 노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목적이 무엇이며, 이 목적 속에 포함되어 있는 요소들이 무엇인가에 비추어 프로젝트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VE 제안의 채택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현상파악단계에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과제이다.

 

   ※ 품질모델 작성

     사용자 및 발주처 등 프로젝트 이해당사자들의 요구를 측정하는 데는 주로 품질모델(Quality model)이 사용된다. 품질모델은 설계, 시공, 사용, 시설운영, 재무 등 각 분야의 참여자들간의 합의를 통해 사용자의 프로젝트 성능에 대한 기대치를 도식화하는 모델이다.

     품질모델은 VE활동 시 기능정의, 기능정리, 기능평가, 대안 평가시 의사결정의 지침을 제공하고 대안이 발주자의 요구에 합당한지를 확인할 수 있는 평가 척도로 활용 된다.

[그림 3.1] 준비단계 운용기법

 

3.2.7 VE대상 선정

  VE 대상 프로젝트의 선정여부는 발주청이 결정하거나 또는 관련법령에 의해 정해지는 사항으로서 VE팀 자체의 업무가 아니다. VE 과정상에서 대상선정작업이란 정해진 프로젝트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프로젝트 가운데 VE팀이 집중적으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할 대상을 선정하는 것이다. 파레토 분포의 법칙(Pareto's Law of Distribution)은 VE 대상 선정에도 유용하다. 즉, 20%의 범주에 해당하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공략하여 문제의 80%를 개선 할 수 있다는 원칙을 VE 수행대상 선정에 적용함으로써 VE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러한 원칙은 대부분의 VE가 공기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한된 시간내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VE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유용한 접근 방법이다.

  VE 대상을 선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법으로 비용모델(Cost model)이 자주 사용된다.

비용모델의 종류는 고비용 분야 선정기법, Cost Worth(가치대비 비용계산법), 비용성능 평가기법, 복합평가기법, 가중치 부여 복합평가기법 등이 있다. 이러한 분석 등을 통하여 전체 프로젝트에 대해 어떤 특정한 공종만을 다룰 수 있다. 또한 전체 프로젝트에 대해 어떤 기능에 집중하고자 하면 기능분석을 통하여 기능-비용분석및 기능-성능분석 등을 통하여 고비용기능 및 고성능기능 등을 분석해 냄으로서 집중적으로 기능에 대한 비용절감과 성능향상에 집중할 수 있다. 비용모델은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한다. 비용모델을 적용하여 선정된 대상은 기능분석 과정을 통하여 더욱 상세한 중점 개선기능으로 세분되며 비용모델의 적용을 위해 수집된 자료들은 분석단계에서 당해 사업의 비용배분에 사용되며, 대안들을 평가할 때에도 기본 참고자료로 사용된다.

  각 기법의 특징은 다음 <표 3.2>에 나타내었으며 프로젝트 또는 대상시설물의 성격에 따라 선택 또는 병행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아래 표에 있는 방법이외에도 VE대상을 선정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표 3.2> VE 대상 선정기법 비교

VE대상 선정기법 평가기준 비고
고비용 분야 선정기법 비용 고비용 분야를 대상으로 선정
Cost Worth 기법 비용과 성능을 종합적으로 판단 Worth의 사용시, 기능분석 개념 사용
비용․성능 평가기법 비용과 성능을 종합적으로 판단 성능평가기준으로 발주자․사용자 요구, 공기 등이 있음
복합 평가기법 개선 예상 효과, 투입가능 노력, 팀의 능력 등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평가항목은 다양하게 선정될 수 있음
가중치부여 복합평가기법 품질향상, 안전성, 제약성 등 평가항목에 가중치 부여
기능-비용분석 고비용 기능, Cost-Driver 기능 선정 고비용이 소요되는 기능과 연관된
공종 선정
기능-성능분석 고성능 기능, Performance- Driver 기능 선정 고성능이 요구되는 기능과 연관된
공종 선정

  

 

3.2.8 관련자료의 수집

  관련 자료수집의 목적은 VE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팀 구성원들이 VE 대상 프로젝트의 주요사항에 대해서 충분히 파악하는 것이다. 본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의 질과 포괄성이 VE 활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아주 중요한 단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수집은 그 질과 포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단계에서만 실시되는 것이 아니라 VE 활동 전반에 걸쳐 수집되어야 한다.

 

(1) 주요 업무내용

① 프로젝트의 주요사항 발표

     프로젝트의 주요사항에 대하여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발주청, 설계팀, VE팀에 의해 다양한 발표들이 이루어진다. 발표주체별 내용 및 효과는 아래 <표 3.3>과 같다.

 

<표 3.3> 정보수집 단계의 발표 주체, 내용 및 효과

발 표 주 체 내   용 효   과
 발주청 경영진 VE활동 목표 및 시행의지 VE팀과 유관그룹의 단합
 VE 책임자 VE 프로세스 및 업무내용   의 개략설명 모든 VE 관련자에 VE 프로세스 인지
발주청지원
업무 수행자
프로젝트의 목표 프로젝트에 대한 거시적 목표제시
 설계팀 전문 부문별 설계의도 및  배경설명  VE팀의 설계제약요건에 대한 논   리적 배경 설명

 

② 관련자료 수집

     자료의 적극 공유 및 정보수집이 미흡한 경우 VE수행이 대단히 어려워질 수 있다. VE 책임자는 적합한 정보 수집을 위해 정보제공자와 VE팀의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리고 발주청의 VE 지원업무 수행자는 VE 관련자가 이러한 협력관계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전폭적인 지원을 하여야 한다. 준비단계에 요구되는 수집정보의 유형은 아래표와 같다.

 

<정보수집 및 분석 단계에서 요구되는 정보의 유형>

ㆍ프로젝트 개요서                            ㆍ시방서
ㆍ설계기준                                     ㆍ법규
ㆍ공간계획                                     ㆍ지반 조사서
ㆍ시공계획 및 단계                           ㆍ환경 조사서
ㆍ설계도면(건축, 구조, 기계, 전기, 토목 등)   ㆍ현장사진
ㆍ대지계획                                     ㆍ유지 및 운영관리비용정보
ㆍ개략 공사비(필요시 상세데이터 포함)     ㆍ사용기간, 운영 및 유지관리계획서)
ㆍ설계계산(구조, 기계, 전기 등)             ㆍ조달 전략

 

 

③ 공사비 견적 검증

- VE 활동에 활용되는 공사비 견적 정보가 VE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며, 이 비용자료는 VE 대상 선정 및 이후 개발되는 대안과의 비용비교의 근간이 됨

- VE팀의 잠재 연구영역을 확립하고 대체적 아이디어 평가에 제시된 공사비 정보를 활용하기 때문에 본 단계의 공사비 견적 정보는 매우 중요한 것이므로 발주청의 VE 지원업무 수행자, 설계자, VE 책임자 등은 이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해야 함.

- 필요한 경우 발주청의 VE 지원업무 수행자와 VE 책임자의 협의를 통하여 외부 공사비 분석 전문가를 고용하여 당해 프로젝트의 공사비에 대한 재견적을 시행할 수도 있음

- 하지만 중복된 견적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고려한다면 일반적으로 제공된 견적자료의 간단한 검증 후 조정을 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임

 

3.3 분석단계

  분석단계에서는 선정한 대상의 정보 수집, 기능분석, 아이디어의 창출, 아이디어의 평가, 대안의 구체화, 제안서의 작성 및 발표를 하여야 하면 단계별로 다음과 같은 핵심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3.3.1 정보 수집

  VE를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VE 대상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를 충분히 파악하고 프로젝트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명확하게 한 후 VE 효과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프로젝트의 정보 파악에는 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검토한다.

• 사전조사단계에서 수집된 정보의 정리․분석 및 필요한 추가자료의 수집

• 프로젝트의 내용에 관한 숙지

• 프로젝트 구성요소의 확인

 

3.3.2 기능 분석

  기능분석 단계의 목적은 VE 대상선정 단계에서 결정된 대상 시설물에 대하여 기능정의 및 분류, 정리, 평가의 세 단계를 수행하여 프로젝트를 새로운 안목으로 관찰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프로젝트의 최종 목적과 수단이 정의되며 프로젝트에서 수행하는 일들에 대한 명확한 상관관계가 규명된다.

(1) 기능정의 및 분류

  기능정의란 필요한 기능을 명확히하기위해 시스템 및 그 구성요소들의 작용이나 역할을 언어구조상의 형식(명사+동사)으로 그 존립목적을 표현한다. 기능은 “명사+동사”의 조합으로 표현하는데 동사는 팀 구성원의 사고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도록 함축적, 단순하고, 쉬우며, 동적인 표현을 사용한다. 명사는 계량  및 측정을 통하여 정량화가 가능한 표현을 사용해야 한다.

  기능분류는 가장 간단하고 일반적으로 많이 활용되는 기능 정리방식이다. 정의된 기능들을 핵심적인 필요사항인 주(기본)기능과 이것을 달성하기 위한 부(2차)기능으로 분류하는 것으로 그 절차는 다음과 같다.

- 기능은 ‘명사+동사’의 조합으로 간결히 표현한다.

  ex) 쥐덫을 설치한다.

     (명사)  (동사)

- 명사는 계량 및 측정을 통하여 정량화가 가능한 표현을 사용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은 명사의 개념을 수학적인 개념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며 명사부분이 측정 될 수 있는 말로 나타내면 후에 기능평가가 쉬워진다.

 

<표 3.4> 기능 정의 예【sample】

명사부분을 측정하기 쉬운 예 명사부분을 측정하기 힘든 예
명 사 동 사 명 사 동 사
쥐를
쥐덫을
충격을
잡는다
설치한다
가한다.
외관을
기능을
분위기를
좋게한다
확보한다
만든다
객관적
기계적
정량적
주관적
정서적
정성적

- 동사는 팀 구성원의 사고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도록 함축적, 단순하고, 쉬우며, 동적인 표현을 사용한다

  ex)   구체적인 표현 ................... 쥐를 죽인다

         추상적인 표현 ................... 중량을 받친다

         계량적인 표현 ................... 10kg을 받친다

- 한 요소가 여러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목적에 따라 그 기능은 달라질 수 있다

- 가장 많이 쓰이는 기능분류 방식은 기능정의에서 정의된 기능들을 주기능(기본기능)과 부기 능(2차기능)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표 3.5> 기능분류의 구분

구   분 기   준 유   형
 주기능
 (기본기능)
 프로젝트의 핵심기능  발주청의 핵심적인 필요사항 및 요구사항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부기능
 (2차기능)
 주기능 이외의 모든 기능  주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산정된 방법 또는 공법의 결과로 생기며 특정(부) 기능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필수 부기능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특정 부기능  법규에 의해 요구되는 기능

<표 3.6> 기능정의 및 분류【Sample】

대상 기능정의 기능분류 비고
명사 동사 기본 2차
토목
(부지)
대지면적을  확보한다    
절성토를        줄인다    
기존 지형을     확보한다    
질성토의 균형을 맞춘다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룬다    
민원을 줄인다    
접근성을 쉽게 한다    
진출입을 쉽게 한다    
계획고를 차별한다    
친환경 자재를 활용한다    
절토면의 안전성을 확보한다    
동결심도를 확보한다    
배수 배수 구배를 유지한다    
중수를 이용한다    
우수를 이용한다    
부력을 방지한다    
지하배수를 원활히 한다    
기존 배수로와 연결한다    
관로 길이를 줄인다    
지반 배수를 원활히 한다    
배수관 파손을 방지한다    
구조 안전성을 확보한다    
내구성을 확보한다    
시공성을 확보한다    
경간을 단순하게 한다    
토압을 줄인다    

(2) 기능정리

  기능정리의 목적은 ‘How-Why Logic'을 이용하여 기능간의 위계관계를 정리함으로써 실제로 요구되는 기능을 정확히 확인하여 불필요 기능 및 누락된 사항을 규명하고 상호관계가 있는 기능들을 서로 Grouping하므로서 대안 작성 단계에서 변경 제안하는 적절한 기능의 분야를 찾아내는데 있다.

  기능분석단계에서는 해당 사업의 기능분석을 통한 기능분석계통도(이하 FAST(Function Analysis System Technique)라 칭함)를 작성하고, 설계안에 대한 기능별 비용을 분석한 후 기능별 집중검토 대상을 도출한다. 

 FAST도란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하며 설계의 부분구성요소의 분석과 이에 대한 한정된 범위를 확실히 검토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FAST도의 작도는 다음의 사항(그림3.2 참고)을 고려하여 작성한다. 

- 한계범위 선을 긋는다.(왼쪽을 먼저, 오른쪽을 뒤에) 

- 차 상위기능(대상프로젝트를 대표할 수 있는 꼭 필요한 기능)과 기본기능을 위치시킨다. 차 상위 기능과 기본기능의 상호관계는 Why? 질문에 의해 결정된다. 즉, “기본기능의 역할은 왜 필요한가?”의 대답은 “차 상위 기능을 위해서”라고 대답하면 된다. 

- 주 공정선 기능을 제일 먼저 찾아내 위치시킨다. 기본기능에 대한 How? 질문을 통해 필수 2차 기능을 결정하고 Why? 질문을 통해 그 논리적 타당성을 점검한다. 이 필수 2차 기능들은 오른쪽 한계범위선의 바로 왼쪽에 위치하는 필수 2차 기능이 확인될 때 까지 전개하여야 한다. 그리고 뒤에 입력기능을 찾아 위치시킨다. 입력기능은 대상프로젝트가 고객을 위해 필요한 사용상의 기능특성을 발휘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취하는 기능이다. 

- How?는 순서도의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질문을 하여 전개한다.

- Why?는 순서도의 오른쪽에서 왼쪽방향으로 질문하여 논리의 타당성을 점검한다. 

- 그리고 2차 필수기능(또는 필수 2차기능)의 둘로 쪼개지는 갈래가 있는지 검토한다. 

- When?의 질문을 통해 보조기능 즉, 동시발생기능을 필요한 주공정선기능에 연결시킨다. 동시발생기능들은 각각 주공정상의 필요한 필수기능 들에 직접 연결된다. 이들 기능들은 각각 주공정선 상의 필수기능들읠 수행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보조기능들로서 “언제 발생하는가?”, “언제 필요한4가?”에 대한 When?의 질문에 의해 필요한 주공정선상의 해당기능에 연결시킨다.  

- 상시발생기능을 찾아 제자리에 위치시킨다. 상시발생기능은 대상프로젝트의 활동과 관계없이 항상 발생하는 기능을 말한다. 

- 설계목적/기준 기능을 찾아 제자리에 위치시킨다. 이 설계조건, 목적 또는 설계기준에 관한 기능은 설계시방으로 지켜져야 할 기능들을 말한다. 기본기능 상단의 왼쪽한계범위선 오른쪽 상단에 위치시킨다.

 

[그림 3.2] FAST도의 작성기준

 

 

[그림 3.3] FAST도 작성(자동 요금징수 시스템)【Sample】

 

 

 

[그림 3.4]FAST도 작성(주차장 선구획 공사)【Sample】

(3) 기능평가 방법

  기능평가의 목적은 여러 기능들을 평가ㆍ비교하여 중점개선 대상기능을 선정하는 것으로 각 기능들을 계량화하여 평가ㆍ비교를 함으로써 가장 비용 절감여지가 큰 중점개선 대상기능들을 선정하여 보다 효율적인 VE 수행을 가능케 한다.

① 기능평가의 절차

- FAST 다이어그램에서 평가대상의 기능수준을 설정하고 평가할 기능들을 선정(평가대상 기능들은 일반적으로 연구 범위선 내의 주기능들임)

- 각 기능분야별 현재비용(C)을 배분

- 각 기능분야별 기능비용(F)을 구함

- 「V=F/C」를 이용하여 가치가 작은 분야 확인

- 「Pi=C-F」를 이용하여 개선가능금액이 큰 분야 확인(Pi:개선가능금액)

- 개선대상 기능들의 착수순위를 결정하여 중점개선 대상기능을 최종결정

- 개선의 목표를 수치화함으로써 개선활동의 동기를 부여하고, 개선활동의 결과를 예측함

② 기능평가 기법의 종류 및 특징

       기능비용(F)의 산출과정은 VE 추진과정 중에서 상대적으로 어려운 부분이다. 기능비용(F) 값의 산정은 비용절감의 개선 잠재력이 큰 부분을 선택하고, 기능분석의 최종목적인 중점개선 기능분야를 식별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이기 때문에 필요이상으로 정확히 산정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기능평가 기법의 적용은 각 기법의 특징과 대상 프로젝트와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적용 할 수 있다.

- 과거 실적자료(Historical Data)에 의한 기법

  과거의 실적 데이터를 기준으로 해당기능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통계적 수치로 나타내어 그 중 최저의 값을 기능비용(F)으로 정하는 방법이다. 이는 실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가능한 기법이다.

- 강제결정법(FD법-Forced Decision)

  기능 상호간의 1:1 비교를 통하여 중요도를 평가하는 기법으로 VE팀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각 기능의 중요성에 대한 순위를 집계함. FD법의 활용절차는 다음과 같다.

a) 각 기능에 대해 짝을 지어 비교함(예: F1과 F2, F3,F4 각각과 기능의 중요도를 비교)

b) VE팀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각 기능의 중요성 평가치를 기입(높은 쪽:1, 낮은 쪽: 0)

c) 각 기능별 중요도 평가 점수를 합산

d) 중요도 평가점수를 합계를 기준으로 집계하여 순위를 결정

- 기능분야별 가중치부여 결정법(IWDM법 - Improved Weight Decision Method)

    FD법에 의해 결정된 기능의 중요 순위대로 표로 작성하여 기능의 상대적인 중요도, 누적치, 가중치 등을 구하는 기법. IWDM법의 활용절차는 다음과 같다.

a) FD법에 의한 최하위 기능을 1로 기준할 때, 다른 기능의 중요도는 몇 배인가를 VE팀 주관적 판단에 의해 결정

b) 위에서 구한 기능의 중요도를 표의 중요도란에 기입

c) 각 기능의 누적치와 합계를 구함

d) 각 기능의 가중치를 구함

e) 보정치를 VE팀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구함

f) 가중치와 보정치를 가감하여 확정가중치를 구함

g) 현재비용(C)을 기입

h) 기능비용(F)을 구함

 

- 경험(델파이기법)에 의한 기능비용산출 기법

    경험(델파이기법)에 의한 기능비용산출 기법은 복수의 전문가 의견을 활용하는 기법으로 그 활용절차는 다음과 같다.

a) VE팀 구성원 각 기능별 가중치를 경험과 주관에 의해 부여하여(1차평가) 해당칸에 기입

b) 각 기능별 가중치 합계의 1차 평균치를 산출하여 ㉮란에 기입

c) 산출된 평균치의 내용을 참고하여 팀원 각자 기능별 가중치를 2차 평가하여 해당란에 기입

d) 2차 평가에 대한 각 기능별 가중치 합계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란에 기입

e) 각 팀원의 각 기능에 대한 가중치의 합은 항상 100임

f) 확정가중치(㉰)는 2차 평가의 평균치를 사용하고 단위는 백분율(%)을 사용

g) 현재비용(C)의 합계(㉱)×확정가중치(㉰)=비용배분

h) 기능비용(F) 산출 : 현재비용(C)과 비용배분 항의 비용 중에서 작은 값을 선택

<표 3.7>은 경험(델파이법)에 의한 기능비용 산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표 3.7> 경험에 의한 기능비용 산출의 기법의 예

구분 홍○○ 김○○ 김○○ 최○○ 박○○ 평균치
(%)
확정
가중치
(%)
현재
비용
C
비용
배분
㉰×㉱
기능
비용
F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F1 40 38 45 42 46 42 42 40 41 40 43
40㉯ 40
5,872 6,572 5,872
F2 31                       30 5,916 4,929 4,929
F3 24                       23 3,444 3,779 3,444
F4 4                       5 874 822 822
F5 1                       2 324 329 324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6,430 16,430 15,391

 

- 부정합(Value Mismatches) 활용기법

    기능에 할당된 비용(C)과 발주자ㆍ사용자의 성능기대(기능중요도)가 부합하는 항목을 분석하고, 기능별 부정합의 정도를 판단하고 개선대상 기능분야를 선정하는 기법이다. 즉, 기능에 할당된 비용(C)이 발주자ㆍ사용자의 요구(기능중요도)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쓸모없는 가치라는 것이다. 부정합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a) 기능에 할당된 비용(C)과 기능중요도를 각각 3점 척도 또는 5점 척도 등을 사용하여 분류

b) 3점 척도: 높음, 보통, 낮음

c) 5점 척도: 매우 높음, 높음, 보통, 약간 낮음, 낮음

<표 3.8>은 부정합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표 3.8> 부정합의 예

기   능 평   가 부정합(Value
Mismatch)
번호 내   용 현재비용(C) 기능중요도
F1  교통정체를 감소시킨다. 5 3 ▲▲
F2  통행량을 증대시킨다. 3 4
F3  차선진입을 쉽게 한다. 1 3 ▽▽
F5  교통소음을 줄인다. 2 2 -
F6  교통사고를 줄인다. 1 3 ▽▽
F7  주변 환경과의 친화성을 증대시킨다. 3 4
F8  과속을 방지한다. 1 2

평가척도(현재
비용, 기능중요도)
5 4 3 2 1 고비용, 저중요 기능
매우 높음 높음 보통 약간 낮음 낮음 저비용, 고중요 기능

 

 <표 3.8>에서 기능 F1은 고비용, 저중요 기능으로 판정되어(▲가 많을수록 개선여지가 많음) 비용절감을 위한 중점개선 대상기능으로 선정될 수 있으며, F3, F6 등은 저비용, 고중요 기능이므로(▽가 많을수록 성능향상을 위한 검토가 필요함) 성능향상을 위한 개선대상기능으로 선정될 수 있다.

 

- 기능평가표

    프로젝트의 구성항목(공간별, 부위별, 공종별)에 대하여 기능정의-정리-평가한 결과를 종합하여 기능평가표를 작성한다. 이러한 표는 VE 제안서와 최종 VE 보고서 양식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기능평가표의 작성절차는 다음과 같다.

a) 구성항목에 대한 기능을 정의(명사+동사)

b) 각 기능을 주기능과 부기능으로 분류

c). 각 기능의 현재비용(C)과 기능비용(F)을 구함

d) 가치지수를 선정하고 가치지수가 작은 기능을 선정

e). 구해진 가치지수를 이용하여 중점개선 대상기능 선정

 

기능평가표의 사례는 <표 3.9>와 같다.

 

<표 3.9> 기능평가표 작성의 예

기능평가표(공간별/부위별/공종별)
컴퓨터정보처리센터 - 조명/전력
○○ 공사
항   목 단위 물량 기 능 정 의 기 능 분 류 현재
비용
(C)
기능
비용
(F)
F/C
명사 동사 주기능 부기능
전   선 피트 30,750 전력 배분하다   5,000 4,000 0.8
절연구리
접지선
피트 10,570 전류 방출하다   1,800 1,800 1
EMT도관 피트 6,020 전선 피복하다   6,200 2,000 0.32
EMT도관
부속품
1,300 도관 연결하다   4,500 1,000 0.22
사무실
조명기구
380 물체 조명하다   42,500 32,500 0.77
내부이미지 향상시키다     10,000 `0

 

3.3.3 아이디어 창출

  아이디어 창출단계의 목표는 정보단계에서 수집된 정보와 기능분석을 통하여 선정된 개선대상 기능들을 달성할 수 있는 대체방안(아이디어)을 팀 구성원의 숙고를 통하여 되도록 많이 창출하는 것이다.

[그림 3.5] 아이디어 창출 개념

 

  아이디어 창출단계에서 고안된 아이디어는 아이디어 평가단계에서 최적안 선정을 위한 기초가 되므로 보다 많은 아이디어 창출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대체안을 선정할 수 있으며 다수의 아이디어 창출을 위하여 고안단계에서 VE팀에 의해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기본원칙

① 판단의 연기

- 제안된 아이디어에 대해 바로 판단, 평가, 비판하는 것은 엄격히 금지되어야 함. 즉 가능하면 많은 양의 아이디어가 나오도록 유도되어야 함.

- 자신 및 타 구성원의 아이디어에 대한 부연설명도 금지되어야 함

- 부연설명을 금함으로써 아이디어의 창출이 방해 없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판단을 금함으로써 비현실적이라고 생각되는 아이디어의 제안을 가능케 함

- 단 타 구성원의 아이디어로부터 착안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은매우 바람직함. 

- 이러한 비현실적인 아이디어라 하더라도 실행가능하며 가치 있는 아이디어 제안의 촉매 또는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

② 긍정적인 분위기

- 팀구성원 각각의 아이디어는 상호 존중되어야 함

- 자신의 안이 팀 전체가 창출한 안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확신을 갖도록 함

- 아이디어가 실행불가능하다는 부정적인 시각을 버리고, 실행 가능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방향으로 분위기를 조성하여야 함

③ 다수의 아이디어

- 적은 양의 우수한 아이디어 창출보다는 많은 양의 아이디어(Quantity of ideas)의 창출이 중요함

- 비현실적 아이디어라 하더라도 팀 구성원의 사고의 전환을 유발시킬 수 있음.

④ 아이디어 편승

- 팀 구성원간의 아이디어의 상호교환 작용을 통하여 다수의 아이디어가 창출되는 효과가 있음

- 아이디어의 양부에 관계없이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에 편승하여 가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의 제안이 가능함

 

(2) VE 책임자의 역할

- 적정한 기법의 선정: 적절한 기법을 선정할 뿐만 아니라 장애요소들을 제거하고 다양한 창조적 사고의 발현을 돕는 질문들을 팀 구성원에 제시하여야 한다.

- 체계적인 프로세스 운영: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기능에 대한 아이디어 창출로부터 상세한 부문의 기능에 대한 아이디어 창출 순으로 프로세스의 체계화를 구축하여야 한다.

- 가치 있는 아이디어의 착안: 제안된 아이디어 중 경험과 직관으로 실행 가능성 있는 아이디어를 착안하여 팀의 제안방향을 유도하여야 한다.

- 판단의 제지를 위한 방안 강구: 팀구성원의 제안된 아이디어에 대한 판단은 자연발생적일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VE 책임자는 강구해야 한다.

- 기록: 아이디어의 시너지 또는 편승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순간적으로 제안되는 많은 아이디어를 모두 기록하여 전체 팀구성원에게 알릴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플립 차트(Flip-chart) 방식이 많이 사용되나 구성원 개개인에 아이디어 시트를 제공하여 기록한 후, 그 아이디어들을 전체 구성원들이 열람-검토-제안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3) 아이디어 창출방법으로는 브레인스토밍기법, 델파이법, 시네틱스방법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아이디어 창출단계에서는 브레인스토밍기법을 활용하여 기능평가를 통하여 도출된 중요한 기능에 대해 기능별로 아이디어를 도출한다. 단, 이 단계에서 원설계자가 참여하는 것은 큰 도움이 안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원설계자의 참여는 배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팀구성원과 발주처가 필요시 설계자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예외로 할 수 있다.

 

※ 브레인스토밍

  VE 검토수행 절차(Job Plan)중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아이디어 창출용이하고, 거의 모든 경우에 적용 가능한 방법으로 그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아이디어 약술표현                   ② 아이디어 열거

③ 아이디어의 확인 및 추가           ④ 아이디어의 본질 추구 및 스케치

⑤ 아이디어 발전

<표 3.10> 개인(집단) 브레인스토밍【Sample】

개인(집단) 브레인스토밍 기관 AA공사
사업명 ○○지구 ○○공사
회의장소 AA공사 소회의실 일시 2003.11.13
개선대상기능 주거공간을 제공한다.
번호 아이디어 비고
1 철골조를 사용한다. 구조
2 단위세대를 PC로 사전 제작한다.  
3 실내정원을 제공한다.  
4 지하공간을 넓힌다. 공간
5 지하공간을 없앤다. 공간
6 건식화한다. 재료
7 UBR을 사용한다. 재료
8 PFP를 쓴다. 재료
9 천정고를 낮춘다. 구조
10 골조를 단순화한다. 구조
11 아파트향을 가변향으로 한다.  
12 공동화장실을 만든다.  
13 지반고를 높인다.  
14 지하층을 거주공간으로 활용한다.  
15 공용목욕탕을 만든다.  
아이디어 15건  

 

 

• 아이디어 창출단계에서 도출된 아이디어들 중 시행 가능성 위주로 재선별

• 제안자를 존중하는 자세로 팀 구성원 전원이 평가에 참여

• 아이디어 평가는 아이디어의 그룹핑 후 개략평가 실시

 

<표 3.11> 개인, 집단 브레인스토밍 비교

구 분 개인 브레인스토밍 집단 브레인스토밍
개 요 ∙시간적 제약을 감소
∙많은 아이디어 도출
∙부족한 표현능력의 보완
∙습관적감정적 장애 극복
∙사전준비의 효과 극대화
∙전문적시각적 장애의 극복
∙다양한 아이디어 수렴
여러 관점에서의 제안 아이디어에 대한 수용
주 체   VE팀원 개개인   VE팀 구성원 전체
개략절차 ∙제공된 자료를 검토
∙가능한 모든 아이디어 도출
∙기록(글, 그림, 표…)
∙도출된 아이디어에 대한 검토 및 분석
∙기록의 제출
∙제출된 아이디어에 대한 분류 작업
∙소규모 집단모임 토론후에 전체 집단 창조 단계
∙모든 제안 및 거론된 아이디어에 대한 기록
∙가급적 다수의 아이디어 유도
∙제안에 대한수정종합편승
∙비판 평가의 유보

3.3.4  아이디어 평가

  아이디어 평가단계는 아이디어 창출단계에서 고안된 수많은 아이디어들 중 개발, 시행 가능한 것들을 스크린 하는 과정이다. 이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평가는 개별 아이디어의 장ㆍ단점을 충분히 고려한 객관적인 것이어야 하며, 단순한 아이디어라 할지라도 쉽게 폐기하지 말고 유사 아이디어와 조합하여 가능성을 다시 추구하는 접근을 시도하여야 한다. 

  아이디어 평가단계에서는 도출된 모든 아이디어를 성능과 비용측면에서 개략 평가하여 대안개발을 위한 우선순위를 선정한다. 

 

(1) 평가기준의 선정

  효과적, 효율적인 평가를 위하여 프로젝트 및 아이디어에 따라 적정한 기준의 선정은 매우 중요하다. 건설사업에서 활용되는 일반적인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표 3.12> 가기준별 주요 평가 항목

평가기준 주요 평가 항목
비용 초기 투자비용, 운영 및 유지비용, 관리요원 비용 등의 절감 가능성
시행 용이성 및 재설계 관한 비용
부대비용에 미치는 영향
기능 미적요소
대안의 필수기능 충족성
원 설계에 대비한 대안의 개선 정도
시설물의 장래사용 및 확장에 대한 융통성
사용기간 동안의 안전 및 보안
시간 설계시간에 미치는 영향
시공 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
시설물 또는 그 구성시스템의 내구성, 신뢰성 및 사용수명
일반 시공성(Constructability)
안전성
법규 관련사항

 

(2) 아이디어 개략 평가

  개략 평가란 구성원들이 제안한 많은 아이디어를 개략적으로 몇 가지 기준으로 평가하는 단계이다. 가치향상은 비용과 성능으로 결정되므로 성능평가기준과 비용의 양측면을 고려하여 빠른 시간내에 합리적인 아이디어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아이디어 평가는 어떤 하나의 방법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면 된다. 아래에는 일반적으로 잘 사용되는 방법을 기술한 것이다. 많은 아이디어가 쏟아져 나와서 시간이 없다면 간단히 VE구성원이 간단히 투표로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표 3.13> 아이디어 개략 평가【Sample 1】

아이디어 평가
Project Name
Caltran
아이디어 성능 기준 장점 단점 등급
NO 기능 A B C D E F G
S-1 진입영업소 신설(병렬) +2 +2 +1 0 0 0 +1 ․방향별 분리로 안전성 증대
․ 소요 차로수 확보
․보상 협의 0 4
S-2 진입 및 진출영업소 신설(병렬) +2 +2 0 0 0 0 0 ․방향별 분리로 안전성 증대
․소요 차로수 확보
․보상 협의
관계기관 협의
0 4
S-3 진출입Toll Booth 배치방식 변경(지그재그 재배치) +2 0 0 -1 0 0 -2 ․방향별 분리로 안전성 증대
․보상비 절감 효과가 큼
․공사중 교통 소통 불리 -2 4
S-8 전 차로 복수Booth 운영(대형차전용 제외) +1 0 -1 0 0 0 0 ․차로당 용량 증가 ․유지관리 불리 +1 3
S-9 복수Booth + 일부차로 다수Booth 운영 +1 0 -1 0 0 0 0 ․차로당 용량 증가 ․유지관리 불리 -1 3
S-10 광장부 라인마킹 조정으로 Gate별이용효율 증대 +1 +1 0 0 0 0 0 ․차선 유도로 안전성 증대   0 3
•   등급점수:
  5 = 중요한 가치향상       4 = 좋은 가치향상        3 =약간의 가치향상
  2 = 약간의 가치감소  1 = 중요한 가치감소 or 프로젝트의 요구와 목적을 만족 못함
•  평가기준 :            중요한  향상    +2,  +1,  0,  -1,  -2    중요한 감소
• A : 지체도     B : 안전성     C: 유지관리성     D : 환경성    
   E :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     F : 공사기간     G : 시공성    

 

 

① 평가기준

  일반적으로 개략평가 기준이 되는 지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있다.

  ㆍ경제성, 시공성, 기술성, 기능 만족도

  ㆍ범례 : ○ - 실행 가능한 것, △ - 좀더 상세한 조사를 요하는 것,

           × - 전혀 실현이 불가능한 것

 

<표 3.14> 아이디어 개략 평가【Sample 2】

아이디어 목록 및 개략 평가표 기관 AA공사
사업명  ○○ 지구 ○○공사 일시 2003.11.14
개선대상기능  앵커 블락의 케이블 정착부 공법 개선 Page 1/1
번호 제안자 아이디어 평가기준 장점 단점
(1)
작업성
(2)
경제성
(3)
기술성
결과
IE-1 김○○ 스틸파이프 사용    
IE-2 이△△ Dwidge공법 사용 × × ×    
IE-3 박△△ 설계사양 기준 내에서 타사제품 사용검토 × × ×    
IE-4 최○○ 대체품의 개발 × × × ×    
                 
                 
                 
                 
                 

 

 

3.3.5 대안의 구체화

  개략평가 단계에서 선정한 아이디어들에 대한 구체적 조사ㆍ분석을 통하여 제안서를 작성해 가는 과정으로 그 절차는 다음과 같다.

[그림 3.6] 아이디어 평가 절차

 

  이 단계에 수행되는 작업들은 VE 분석 단계의 약 1/2 정도의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도 한다. 본 단계에서의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 개발단계는 팀 구성원의 기술적 전문지식이 필수적으로 요구됨

- 선정된 대안들에 대한 구체적 연구를 통하여 스케치, 상세 계산 데이터, 소요비용 및 기타 대안의 특성 등 구체안의 개발이 이루어짐

 

- 개발되는 대안은 상호 독립적이어야 하나 미적기능이 강조되는 경우 의사결정자의 승인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둘 이상의 저가 대안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함

- 평가단계의 수행된 평가는 대안들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없이 수행되므로 개발단계는 아이디어에 대한 재평가로 인식되어야 함

- VE 대상에 대한 잘못된 제안은 발주청이 다른 대상에 대한 제안도 부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분석의 구체화 수준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함

- 구체화의 정도는 제안에 대한 원설계자의 부정적 시각을 해소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마련

- 실질적인 의사결정은 발주청의 지원업무 수행자와 설계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는 인식하에 제안서의 내용은 발주청을 위한 일반적이고 서술적인 내용과 설계팀을 위한 기술적인 자료들을 포함하여 종합적인 내용으로 구성

 

(1) 가치척도

<표 3.15> 가치척도

항   목 산출식 비     고
등급점수[R] 비교안별 평가  각 비교안별 설계자료 및 장,단점을 분석 하여 평가등급(Caltrans, 2000)을 1~10범위에서 평가
가중치[Dr] 항목별 평가 간편한 매트릭스평가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AHP 분석기법에 의해 산정해도 됨.
성능점수[P] P=R×Dr  등급점수에 가중치를 곱하여 100점 만점 환산
상대LCC[C] C=CA/CO  CA : 비교대안의 LCC CO : 원안의 LCC
가치점수[V] V=P/C  성능점수를 상대LCC로 나누어 100점 만점 환산
성능향상지수
[PI][%]
(PA-P0)/P0×100  PA : 대안의 성능점수 P0 : 원안의 성능점수
가치향상지수
[VI][%]
(VE-V0)/V0×100  VE : 대안의 가치점수 V0 : 원안의 가치점수

 

(2) 대안별 등급점수 산정 기준

- 가중치의 중요도를 부여하기 위해서 각 대안별로 등급(Rank)을 부여해 가중평가치를 산정함

- 평가등급은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각 대안별로 평가항목에 대해서 등급을 부여함.

- 평가기준은 가급적 정량적 기준을 사용해야 하며 부득이 정성적인 기준을 사용할 경우 아래 표와 같이 사용할 수 있음.

<표 3.16> 정성적 평가등급 산정 기준

평가등급
배점 평가내용 언어학적 평가
10 기술적으로 가능함 / 대단히 큰 편익 예상됨 / 중요비용과 중요기능 개선 탁월
9 기술적으로 가능함 / 프로젝트 개선 예상됨 / 약간의 비용과 다른 기능적인 개선 우수
8 기술적으로 가능함 / 작은 비용과 다른 기능적인 개선 양호
7 약간의 프로젝트 편익 예상됨 / 설계기준에 제안할 필요 있음 보통
6 대안 접근 / 가능한 설계 제안 미흡
5 비용 축소 / 기능적인 요구에서 약간의 손실 불리
4 편익추구에 의심스러움 매우 불리
3 추구하기에는 미지수가 너무 많음 곤란
2 중요한 단점 매우 곤란
1 요구사항과 맞지 않음 치명적

(3)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 분석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이하 LCC라 함.)이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시설물의 기획단계서부터 폐기처분의 각 단계에서 생기는 비용 즉, 계획․설계비, 건설비, 운영관리비, 해체폐기비용을 합한 것으로 시설물의 생애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말하며, LCC분석(Life Cycle Cost Analysis)이란 비교하고 있는 대안별 생애주기비용(LCC)을 산정하여 비교대안중에 가장 경제적인 대안을 찾아내어 제시하는 의사결정기법을 의미한다.

 

① LCC 분석절차

[그림 3.7] LCC 분석 절차

 

② LCC 분석 방법

  LCC 분석모형은 확정적 LCC 분석모형과 확률적 LCC 분석 모형의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대상구조물의 조건에 따라 차등적용 할 수 있다.

 

a) 확정적 접근방법

- LCC 분석에 있어서 확정적 접근방법은 LCC 분석을 위한 입력변수의 불확실성, 변동성을 고려하지 않는 간단한 접근방법이다.

 

 

    

 

       여기서,

= 현재가치의 총기대비용   

                    

 = 초기비용

              

 = 유지관리비용

                 

 = 처리비용

 

    

        여기서,

= k 년에 발생하는 모든 비용

                      (초기비용, 유지관리비용, 처리비용 포함)

                 

 = 할인율

                

 = LCC 고려시 공용기간

 

b) 확률적 접근방법

- 기본적으로 LCC 분석과 관련된 보수 및 보강주기, 내구년한, 시공, 유지관리 및 폐기처분, 사용자비용 등과 관련된 비용요소 등 수많은 불확실한 요소로 인하여 LCC 분석시 확률적 접근방식(Risk Aapproach)을 추천하고 있다. .

- 확정적 방법은 LCC 분석시 단지 최확치(또는 평균치/기대치) 하나만 가지고 수행하며 결과도 LCC 평가결과 자체도 확정적으로 하나만 얻어진다. 이러한 절차에 의해 얻어지는 프로젝트 LCC의 불확실성은 상당히 클 수 밖에 없으며 민감도 분석이라고 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불확실성을 어느 정도 고려하고자 노력한다. 그러나 비용 추정에 있어서의 비용 발생에 대한 불확실성은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결과 자체의 신뢰도가 높지 못하다.

- 반면 확률적 접근방법은 발생되는 비용에 대한 제반 변수를 확률적으로 모델링하여 적용하기 때문에 보다 과학적이며 합리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단 비용 추정에 있어서의 확률 모델과 변동성을 어느 정도 합리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가가 가장 관건이다.

- 다음 그림은 확률적 접근 방법에 의한 순현재가치(NPV)를 계산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림 3.8] 확률적 접근방법에 의한 NPV 계산

 

 

3.3.6 제안 단계

  제안단계는 검토수행절차(Job Plan)의 마지막 단계로서 발주청의 의사결정자(경영진, VE 지원업무 수행자, CMr, 기타 VE책임자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자 등)와 원 설계팀에게 제안서로 작성한 VE활동의 결과를 구두로 발표하는 단계로 VE활동 수행 결과인 최종 대안에 대한 의사결정자 및 유관그룹이 대안에 대하여 이해를 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1) 제안서 작성

  VE 책임자는 「설계의경제성등검토에관한시행지침」 <별표1> 서식의 설계의경제성등 검토 제안서와 생애주기비용 절감 제안서에 다음의 내용을 작성 또는 첨부하여 해당 발주청에 제출한다.

- 당초설계와 제안된 설계와의 차이 설명, 각각의 장ㆍ단점, 기능이 변경된 경우 그 타당성, 변경에 의한 시설물의 성능에 미친 영향 및 이와 관련된 객관적인 자료

- 제안이 채택된 경우에 변경된 설계기준 또는 시방서의 목록

- 발주자가 제안을 채택하여 실시한 경우 각각의 제안사항이 건설사업비에 미치는 분석자료

- 수정설계 비용, 시험 치 심사비용 등 제안을 채택할 경우 발주자가 부담할 가능성이 있는 비용의 설명 및 견적

- 제안된 변경사항이 생애주기비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측

- 제안사항이 설계 또는 시공에 미치는 영향

- 기타 제안의 우수성을 판단하는데 필요한 자료

 

(2) VE제안의 최종 보고서 포함내용

<표 3.17> VE제안의 최종처리절차

제안서 내  용 ․프로젝트 개요
 
․VE연구 중인 대상구조물에 대한 구성요소별, 공정별 기능적 평가 내용
 
․주요요소, 공정에 대한 FAST도(개선전, 개선후)
 
․고려된 대안에 대한 설명
 
․가장 최적의 대안의 선정을 가능하게 한 사실적 정보 및 기술적 데이터
 
․원안에 대한 비용과 VE제안 안에 대한 비용의 비교
 
․간접비용 등을 고려한 원안과 대안에 대한 생애주기비용 산정 결과
 
․원안과 대안에 대한 성능점수 및 상대적 성능향상 정도를 수치로 표현
 
․원안대비대안에 대한 가치점수 및 상대적 가치향상 정도를 수치로 표현
 
․비용절감형인 경우 비용절감정도, 기능향상형과 기능강조형인 경우 가치 향상정도
 
․신기술, 신공법 도입의 경우 도입에 따른 가치 향상 정도를 수치로 표현

 

3.3.7 발표 단계

  제안서 발표단계에는 경제성등 검토 수행책임자, 구성원, 발주청의 지원업무 수행자, 당해 프로젝트 관련자 전체가 참여해야 하며 검토 수행결과를 발표하여야 하며 필요시 보완 발표를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1) 제안서 발표 전략

① 의사결정자는 크게 발주청의 경영진, 지원업무 수행자등 운영주체와 원 설계팀으로 구분되므로 발표의 내용은 이 두 그룹의 주요 관심 사항에 초점을 맞추는 전략의 수립이 필요

② 1시간 내외의 짧은 시간에 여러 부문의 제안들을 발표하는 경우가 보통이므로 시행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제안 순으로 발표

③ 토론의 여지가 많은 상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별도의 시간을 할당하는 등 발표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

④ 발표 시에는 우호적인 분위기의 조성이 요구됨. 특히 VE팀에 대한 반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발표시 원설계의 우수성 및 이를 토대로 대안이 창출되었음을 강조

⑤ VE 분석 단계에서 설계의 오류가 발견되더라도 발표시에 부각시키는 것보다는 대안과의 차이점을 강조하는 우회적인 접근이 필요

(2) VE 제안서의 발표 내용 및 절차

① 참석자 소개

② 개요 설명

- 프로젝트 개요

- 연구범위 및 VE 대상 분야

- 연구기간, 장소, 팀구성

③ VE 수행절차

- VE연구 수행단계별 활동내용 및 성과

- 분야별 주요 활동내용 및 성과

- 분야별 비용절감내역, 성능증감내역 및 가치향상내역

④ 제안서 내용설명

⑤ 질의응답

⑥ 실행단계업무 및 역할 협의

⑥ 총평

3.4 실행단계

  실행단계는 분석단계에서 제시된 각 VE 제안의 최종처리 단계로서 VE 수행을 마무리하는 아주 중요한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분석단계의 VE활동이 끝나면 실질적인 VE활동이 종료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실행단계에서 VE 제안에 대한 사후 처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지금까지의 VE 활동은 무의미하게 되므로 VE 수행주체는 이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해야 한다.

 

3.4.1 제안서 검토

 본 단계는 VE 제안서의 검토단계로서 VE 제안에 대한 개략적인 실행 보고서 작성하고  평가가 진행되는 단계

(1) 절차

분석단계가 종료되면 VE 책임자는 발표시에 논의된 내용을 VE 제안서에 보충하여 발주청의 경영진, 지원업무 수행자와 설계자 등에 제출하여 검토를 받음

②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VE 제안의 처리결과가 결정되면, VE 지원업무 수행자는 VE 제안의 처리결과를 포함한 최종VE 보고서를 작성해야 함

③ VE 제안서의 제출이 완료되면 VE 책임자와 VE팀의 업무는 사실상 종료되며, 이후의 최종 VE 보고서의 작성은 발주청의 VE 지원업무 수행자가 주관

 

(2) 제안서 수록 권장항목

  제안서 및 최종보고서에 기본적으로 수록해야 할 권장항목을 <표 3.18>에 제시하였으며, 그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3.18> VE 제안서 및 최종 VE 보고서에 수록해야 할 항목

구분 개요보고서(최소한의 내용) 표준 보고서 종합보고서
VE
제안서
·실행계획 요약서
·VE제안 요약서
·VE제안서와 실행제안서
·VE팀원
개요보고서 내용포함
·프로젝트 기술서
·VE팀 의견서
·기능계통도
·기능평가
·아이디어/평가표
·견적서 사본
·검토된 설계도서 목록
표준 보고서 내용 포함
·서론 
·적용된 VE기법 설명
최종
VE
보고서
개요보고서 내용 포함
·VE제안 처리 결과
표준보고서 내용 포함
 ·VE제안 처리결과
 ·교훈
종합보고서 내용 포함
 ·VE제안 처리결과
 ·교훈

 

(3) 요약 보고서

  일반적으로 각 조직의 최상위 관리자 또는 의사결정자는 검토해야 할 많은 업무가 있는 주체이다. 그래서 각 프로젝트에서 제안된 VE 보고서의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정밀한 검토는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요약보고서가 필요하다.

요약보고서에 수록해야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연구 목적

② 연구 장소와 일시

③ 각종 모임의 장소와 일시(참석자 명단과 함께)

④ VE팀 명단

⑤ 연구 결과의 개략적인 기술(제안 수, 절감(가능)액 등)

⑥ 연구결과 또는 연구와 관련되는 주목할만한 내용

⑦ 다음 VE 수행절차에 대한 개략적인 기술

 

(4) 실행 요약서

  실행 요약서의 작성목적은 VE 제안을 사행하고 관리함에 있어 업무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발주청의 요구가 있을 경우에 작성한다. 실행 요약서는 일반적으로 1-2장의 범위에서 VE 실행안의 핵심적인 내용을 간결하게 수록 한다.

 

<표 3.19> VE 제안 실행 요약서【Sample】

 

VE 제안 실행 요약서 기관 AA공사
사업명  ○○지구 ○○공사
VE 제안 번호 제안명 ·실행 내용 요약서
VE-01 증기덕트의 개선 증기덕트의 개선: 배기덕트의 개방장소와 배기방식을 바꾸는 것으로 배기덕트  단말구를 부지 경계 내에 하향으로 개발하고, 우물물을 이용한 포말제거용 샤워헤드를 설치한다.
VE-02 수도인입방식의 개선 수도인입방식의 개선: 구내도로에 공영의 급수 본관 설치 협력을 조건으로 공영수조를 부지안의 산꼭대기로 유치
VE-03 방지, 방음시트벽의 개선 방지, 방음시트벽의 개선: 강풍시 또는 수리시에 시트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지주형상을 변경하고 기초를 작게 함
VE-04 지붕의 채광창 개선 지붕의 채광창 개선: 채광창의 치켜 올라간 부분 대신 선입유리를 와이어웨이브로 변경
제안자 김○○ 분야 토목 연락처 000-0000

 

 

3.4.2 제안서 승인

  본 단계에서는 제안된 VE 제안의 최종 처리를 하기 위한 단계이며, 처리방법은 채택, 기각, 재검토 등으로 구분

(1) 제안서 승인 절차

① VE 제안의 심의결과는 ‘채택, 기각, 재검토’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

② 발주청의 VE 지원업무 수행자는 심의결과에 대한 토의를 위하여 심의팀, 설계팀, VE팀이 참여하는 모임을 주관

③ 이 모임에서 개별제안의 심의결과에 대한 이유의 설명과 각 팀의 의견개진 및 조정을 통하여 개별제안의 최종처리 방안을 결정

④ 기각된 제안에 대해서는 심의자가 잘못된 이해가 있었는가를 점검하고 재검토 제안에 대해서는 어떠한 최종결정을 내려야 하는가에 대하여 상세히 논의되어야 하며, 채택된 제안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

⑤ 수정설계에 반영하기 위한 실행계획은 설계자가 주관하여 작성하게 되며, VE 책임자등은 이에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함

⑥ VE 제안에 대한 협의에서도 최종처리 절차가 조율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설계자문위원회에 이를 회부함

 

(2) 채택, 기각, 재검토의 세부내용.

① 채택

- 채택은 VE 제안서의 개별 VE 제안에 대한 완전한 수용을 의미

- 수용된 VE 제안은 즉시 수정설계 작업이 수행되어야 함

- 만약, VE 제안 중의 일부내용만 수용되고 다른 요소는 거부된 경우 이는 VE 제안의 기각 또는 재검토의 대상이 됨

- VE 제안이 채택된 다음 사안에 따라 수정설계를 실시하는 동안 원 VE 제안의 일부 조정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조정내용이 실행계획서 및 요약서에 구체적으로 기술되어야 함

② 기각 혹은 재검토

- VE 제안을 기각할 경우 각 심사주체는 객관적이고 기술적인 근거를 문서로 작성 제시해야 함

- VE 지원업무 수행자는 심의결과 중에서 반대 혹은 재검토에 대한 근거를 충분히 검토하고 그 수용여부를 결정

- 만일 심사자에 따라 다양한 심의결과가 제출된 경우에는 설계자문위원회에 회부하기 전에 전술한 바와 같이 관련주체 모임을 통해 충분히 협의를 거쳐야 함

 

3.4.3 후속조치

  채택된 제안을 설계에 반영하고, 그 결과를 정리한 최종 VE 보고서를 발주처의 VE 지원업무 수행자가 이를 상부에 제출하는 단계로서 VE 적용에 대한 효과를 종합적으로 검증하는 단계

(1) 후속조치 활동 절차

① 채택된 VE 제안을 수정설계에 반영한 후 실제적인 효과를 제안당시의 예상효과와 비교

② 실행과정상에 발생된 제반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향후 VE 활동에 반영

③ 실행이 되지 않은 제안일지라도 VE 분석단계로부터 얻어진 기술정보들을 축적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각 발주청 차원에서 마련함

④ 제안 적용의 효과는 시공 완료시 뿐만 아니라 시설물의 사용기간에도 점검되어야 하므로 시공 이후 사용자의 만족도 및 시설물의 효용성을 점검하는 POE(Post Occupancy Evaluation)등을 활용하여 장기적인 제안 적용 효과의 평가도 필요

⑤ 모든 VE 활동이 종료되면 VE 지원업무 수행자는 최종 VE 보고서를 작성

⑥ VE 제안의 실행과 관련한 각종 후속조치 업무는 발주청의 주관 하에 수행되는 것으로 해당기관에서는 VE 제안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실행 가능하려는 자세와 노력이 요구됨.

 

 

반응형

'V.E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VE개요  (0) 2009.10.01
설계VE효율화방안_보고서  (0) 2008.05.08
V.E는 이렇게 이루어진다. (1)  (0) 2008.01.18
V.E안 예시 부분입니다.  (0) 2008.01.18